中, 홍콩시위 진압 임박에…美 "中, 비정상국가" 원색 비난

필리핀 뉴스
홈 > 커뮤니티 > 뉴스
뉴스

中, 홍콩시위 진압 임박에…美 "中, 비정상국가" 원색 비난

필사모 0 422


 



미·중 전쟁이 무역·환율·안보 분야 등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양국이 이제는 '홍콩 시위'를 둘러싼 거친 공방마저 펼치고 있어 가뜩이나 깊어진 갈등의 골이 더 심해지고 있다. 최근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자 중국은 '달러당 7.0위안'을 용인하는 포치(破七) 전략과 함께 '희토류 무기화'를 노골적으로 선언하며 사실상 반격에 나섰다. 여기에다 최근 홍콩 사태가 갈등의 불에 기름을 끼얹으며 미·중 간 정면충돌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최근 홍콩 문회보와 대공보 등 친중 성향인 홍콩 매체는 2014년 홍콩 민주화 요구 시위인 '우산혁명'을 주도했던 조슈아 윙과 네이선 로 등 데모시스토당(야당) 지도부가 지난 6일 오후 홍콩 JW메리어트 호텔 로비에서 한 외국인 여성과 만나는 사진을 공개했다. 윙은 홍콩 주재 미국 영사와 만난 사실을 인정했다.

그동안 홍콩 시위대 배후에 미국이 있다고 주장해왔던 중국은 내정간섭의 증거가 드러났다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중국 외교부는 8일 성명을 통해 "미국은 즉각 반중 폭도들과 결별하고 홍콩 문제에 간섭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홍콩의 반중 지도자들을 접촉한 데 대한 해명을 미국 측에 요구했다.

미국은 즉각 반발했다. 8일(현지시간) 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 외교관의 개인정보와 사진, 자녀 이름을 누설하는 것은 정상적인 항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폭력배 정권이 하는 일"이라고 중국을 향해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9일 홍콩 첵랍콕국제공항에서 한 시위자가 `홍콩 여행주의`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홍콩 시위대는 이날부터 사흘간 공항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범죄인 송환법 철폐 운동`을 알리는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그러자 홍콩 시위에 대해 '미국 배후설'을 주장해온 중국은 곧바로 미국 외교관을 초치해 항의했다. 홍콩 주재 중국 외교부 사무소는 "홍콩의 미국 총영사관 고위급 관원을 초치해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강력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에 이어 미국 측에 해명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특정 사안에 대해 외교 경로로 항의하면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사무소 측이 이에 "오테이거스 대변인의 주장은 미국의 깡패 논리(gangster logic)와 패권적 사고를 다시 드러낸 중국에 대한 노골적인 중상모략"이라며 "미국은 옳고 그름을 혼동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 사무소 관계자는 "중국은 그 어떤 국가나 조직, 개인이 그 어떤 방식으로든 홍콩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관 관원이 국제법과 국제 관계 기본 준칙, 영사의 신분과 직책을 지켜 즉각 홍콩에 분란을 일으키는 분자들과 선을 긋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미·중 갈등의 장으로 번진 홍콩 시위는 계속 고조되는 분위기다. 시위대는 9일부터 사흘 연속 홍콩국제공항에서 관광객에게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철폐 운동을 알리는 시위를 펼치기로 예고했다. 10일에는 홍콩 도심인 센트럴에서 '아이의 미래를 지키자'는 주제로 어머니 집회가 열리고, 11일에는 홍콩섬 동부와 삼수이포 지역에서 가두 행진이 예정돼 있다.

'홍콩 시위'라는 국제 정치 이슈에서 거센 공방을 벌이기 시작한 미·중은 경제보복 차원에서도 서로에게 공세의 고삐를 더욱 조이고 있다. 최근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자 중국은 '희토류 무기화'를 선언하며 수출 제한 조치에 나설 수 있음을 경고했다. 8일 중국 희토류사업협회는 성명을 통해 "미국 당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중국 정부의 맞대응을 결연히 지지한다"며 "무역전쟁에서 희토류를 무기로 쓸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미국 상무부는 중국산 가구에 대해 고율의 상계관세를 부과할 태세다. 무역법 301조에 의한 대중 관세 외에 상계관세까지 동원해 중국을 압박하려는 움직임이다. 미국 상무부는 8일 중국산 나무 화장대와 찬장 등에 대한 사전조사 결과 중국 업체가 10.97~229.24% 비율로 국가 보조금을 받았다고 판정했다.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중국산 화장대와 찬장은 총 44억117만달러(약 5조3000억원) 규모에 달했다. 상계관세란 수출 기업이 정부 보조금이나 장려금 등을 받아 가격을 낮추고, 이로 인해 수입국 산업이 피해를 입었을 경우 부과하는 징벌적 관세를 뜻한다.

미국 상무부는 12월 관세 부과 여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미국은 전날 중국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에 대한 수출규제 완화를 전격적으로 보류하기로 했다.

[워싱턴 = 신헌철 특파원 / 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9&aid=0004407597&date=20190809&type=1&rankingSeq=10&rankingSectionId=104 

프린트
0 Comments
+

새글알림

JJ비자 컨설팅 이민국 업무대행
JJ비자컨설팅 06.24 12:22
CSR AND MARKETING
Nailabella 06.10 20:46
+

댓글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