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악화 원인 상대국 언론인 책임 응답은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과 관련해 일본인의 43.1%, 한국인의 78.4%가 “상대국 언론인의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자국에서 보도되는 상대국 뉴스가 양국 간 갈등을 유발한다는 지적에는 일본인의 22.0%, 한국인의 35.8%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발간한 ‘한·일 갈등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에서 보도되는 한국 관련 뉴스는 갈등을 유발한다”는 문항에 일본인의 22%가 “그렇다”, 2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반면 “한국에서 보도되는 일본 관련 뉴스는 갈등을 유발한다”는 문항에 한국인은 35.8%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그렇지 않다”는 20.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일본에서 보도되는 한국 관련 뉴스는 일본 입장에 가깝다”는 문항에는 일본인의 13.9%만이 “그렇다”고 답했고, 30.5%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반면 “한국에서 보도되는 일본 관련 뉴스는 한국 입장에 가깝다”는 문항에 한국인은 45.8%가 “그렇다”며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렇지 않다”는 답은 16.4%에 불과했다.
또한 일본인의 13.9%만이 “일본에서 보도되는 한국 관련 뉴스는 공정하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답했다. 33.4%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한국인의 경우 “한국에서 보도되는 일본 관련 뉴스는 공정하다”는 문항에 18.7%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33.5%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번 여론조사결과에 비춰보면 한국인의 경우 일본 관련 뉴스가 한국 입장에 가까운 것이 갈등을 유발하는 측면이 있지만, 이 같은 보도양상을 오히려 ‘신뢰’의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 이는 일본이 전범 국가로서 가해자의 위치에 있고, 한국이 피해자의 위치에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전문가별 책임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상대국가 언론인의 책임이 있다”는 문항에 일본 시민의 43.1%, 한국 시민의 78.4%가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일본보다는 한국에서 상대국 언론인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산케이신문 같은 극우성향 매체 소속 언론인들의 ‘망언’이 누적되어온 결과로 보인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위근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시민과 일본 시민 모두 상대 국가 및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 비율이 20%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국가가 경계 대상이라는 인식을 가진 시민은 일본이 약 41%, 우리나라가 약 81%였다”며 “양국 시민의 이 같은 상호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한 한·일 갈등이 개선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위근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일본 상품 불매운동’ 이후 우리나라 시민의 약 80%는 제품 구입이, 약 69%는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제품 구입 감소에 대해 약 31%, 콘텐츠 이용 감소에 대해 약 28%의 응답을 한 일본 시민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우리나라 시민의 ‘일본 상품 불매 운동’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해 “양국이 서로 반반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약 40%, 우리나라 시민이 약 75%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25일부터 28일까지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일본 조사는 현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대행한 ‘Syno Japan’이 742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26일부터 31일까지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