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지지율 2주만에 다시 하락세, 왜?

필리핀 뉴스
홈 > 커뮤니티 > 뉴스
뉴스

문재인 지지율 2주만에 다시 하락세, 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2주일만에 다시 하락세 또는 주춤한 모양새가 됐다. 2주전 8%포인트 급상승했으나 다시 2%포인트 내렸다. 의료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다소 늘었다.

한국갤럽이 4일 여론조사결과에서 지난 1~3일 전국 만18세 이상 1002명에게 문재인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45%가 긍정 평가했고 44%는 부정 평가했으며 10%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6%)고 밝혔다. 한국갤럽은 대통령 직무 긍정률이 지난주보다 2%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1%포인트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연령별 긍정률과 부정률은 각각 18~29세(20대)의 경우 30%와 54%, 30대는 58%와 33%, 40대 55%와 37%, 50대 49%와 45%, 60대 이상은 39%와 49%였다. 지난주와 비교할 때 20대에서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20대 남성 긍정률과 부정률 각각 28%와 61%에서 18%와 68%로, 20대 여성은 53%와 27%에서 43%와 39%로).

지지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81%가 대통령 직무 수행을 긍정 평가한 반면, 미래통합당 지지층은 87%가 부정적이었다. 무당(無黨)층에서도 부정률이 앞섰다(긍정 24%, 부정 55%).

문 대통령에 긍정 평가한 응답자들(454명, 자유응답)은 그 이유로 ‘코로나19 대처’(44%), ‘전반적으로 잘한다’(9%),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6%), ‘국민 입장을 생각한다’(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국갤럽은 “29주째 긍정 평가 이유 1순위에 올라 있는 코로나19 관련 응답은 8월 들어 그 비중이 20%대까지 감소했으나, 최근 코로나19 재확산과 함께 다시 40% 내외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부정 평가자들(445명)은 그 이류로 ‘부동산 정책’(19%),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독단적/일방적/편파적’(이상 9%), ‘코로나19 대처 미흡’,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이상 8%), ‘의료 정책’(7%), ‘인사(人事) 문제’, ‘국론 분열/갈등’(이상 4%) 등을 꼽았다. 의료정책 응답이 일주일 전보다 늘었다. 한국갤럽은 “의료 정책 응답이 지난주보다 늘어, 정부·의료계 대치 장기화에 따른 파급력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며 “부동산 문제는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주목도는 낮아졌으나, 9주째 부정 평가 이유 1순위”라고 해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수도권 코로나19 공동대응 상황실에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청와대▲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수도권 코로나19 공동대응 상황실에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정당 지지도 조사결과 응답자들이 현재 지지하는 정당은 더불어민주당 39%,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 29%, 미래통합당(국민의힘) 20%, 정의당과 국민의당 각각 4%, 열린민주당 3% 순이었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은 각각 1~2%포인트 상승, 정의당은 3%포인트 하락했으며 미래통합당은 그대로였다.

정치성향별로는 진보층의 69%가 더불어민주당, 보수층의 50%가 미래통합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도층 지지 정당은 더불어민주당 34%, 미래통합당 16% 순이며, 36%가 지지하는 정당을 답하지 않았다. 연령별 무당층 비율은 20대가 54%로 가장 많았다.

한국갤럽은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 선호도도 조사했다. 올해 11월에 있을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두 후보 중 누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고 보느냐고 물은 결과 ‘도널드 트럼프 현 미 대통령이자 공화당 후보’가 16%,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59%로 나타났고 25%는 의견을 유보했다.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성향 보수층(27%), 20·30대(20%대 초반)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바이든 선호는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우세했으며 진보층과 50대에서 70%를 넘었다.

갤럽은 4년 전인 2016년 8월 갤럽 인터내셔널(Gallup International Association) 44개국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82%가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했고 도널드 트럼프는 3%에 그쳤다고 전했다. 당시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클린턴 당선을 원했고, 한국을 포함해 핀란드, 포르투갈, 스웨덴, 콜롬비아에서 그 비율이 80%를 웃돌았다. 특히 미국의 선거제도는 직접선거로 치르는 우리나라와 달리, 주별로 각 후보가 내세운 선거인단에 투표하고 전국적으로 선거인단을 가장 많이 확보한 후보가 승리하는 간접선거 방식이다. 따라서 사전 여론조사로 최종 결과를 가늠하기 어렵다.

▲한국갤럽이 문재인 대통령 직무평가 조사결과 추이를 작성한 그래프. 이미지=한국갤럽▲한국갤럽이 문재인 대통령 직무평가 조사결과 추이를 작성한 그래프. 이미지=한국갤럽

 

다음은 한국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 개요다.

- 조사기간: 2020년 9월 1~3일

- 표본추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

-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

-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

-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18%(총 통화 5,710명 중 1,002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프린트
0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

새글알림

과외 하고있습니다
소유링 05.25 22:09
+

댓글알림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