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존 볼턴에 문 대통령 조현병? 본인이 그럴수도

필리핀 뉴스
홈 > 커뮤니티 > 뉴스
뉴스

청와대, 존 볼턴에 문 대통령 조현병? 본인이 그럴수도

존 볼턴 전 백악관 안보보좌관의 북미정상회담 및 남북미 회동 과정에 관한 폭로에 청와대는 “자신의 선입견으로 사실관계를 크게 훼손했으며, 기본을 갖추지 못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생각을 조현병 환자같은 생각이라고 언급한 볼턴 전 보좌관에 “본인이 그럴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2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2층에서 연 현안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볼턴 전 보좌관의 카운터파트였던 정의용 실장은 이날 윤 수석의 입장 대독을 통해 “볼턴 보좌관은 회고록에서 한국과 미국, 북한 정상들간의 협의 내용과 관련한 상황을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을 밝힌 것”이라며 “정확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상당부분 사실을 크게 왜곡하고 있다”며 “정부간 상호 신뢰 기초한 협의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외교의 기본원칙을 위반한 것으로 향후 협상의 신의를 매우 심각하게 훼손한 것일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정 실장은 “미국정부가 이 같은 위험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를 기대한다”며 “이런 부적절한 행위는 한미간에 공동전략을 유지 발전시키고 당국의 안보 이익을 강화하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도한 수석은 이 같은 정 실장의 입장을 어제(21일) 저녁에 미 NSC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이어 볼턴 회고록에 관한 청와대 입장에서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한미정상간 진솔하고 건설적인 협의내용을 자신의 편견과 선입견 바탕으로 왜곡한 것은 기본을 갖추지 못한 부적절한 행태”라고 규정했다.

왜곡된 부분이 어떤 부분이냐는 질의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앞서 지적했듯이 정상간 대화, 외교관계에 있어서의 협의과정을 밝히지 않는다”며 “이것이 기본을 망각했다고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볼턴 전 보좌관이 여러 가지 얘기했는데, 하나하나 사실관계를 다투는 것 조차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회고록 전체를 보지는 못했으나 일정부분 어느 부분이 (대통령이나 우리 정부, 청와대에) 관련돼 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볼턴 회고록에서 ‘지난해 6월 말 북미 판문점 회동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모두 문 대통령의 동행을 거부했으나 문 대통령이 설득해서 이뤄졌다’, ‘지난해 2월 하노이 회담 전에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트럼프 대통령에 설득했다’, ‘2018년 싱가폴 회담은 정의용 실장의 작품’ 등 문 대통령이나 정의용 실장 관련 부분이 사실인지를 묻는 미디어오늘 질의에도 청와대 측은 답변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볼턴 자신의 편견과 선입견에 바탕으로 주장하는 것으로 뭐가 사실이고, 사실이 아닌지에 대해 밝히지 않는다고 한 부분”이라며 “다만 지난해 판문점 상황 보도를 통해 살펴보시면 볼턴 역할이 뭐였는지 말씀드리지 않아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고 반박했다.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쓴 회고록, 그 일이 일났던 방 표지. 이미지=존 볼턴 회고록 갈무리▲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쓴 회고록, 그 일이 일났던 방 표지. 이미지=존 볼턴 회고록 갈무리

 

특히 회고록에 문 대통령을 폄훼하는 표현, 몇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조현병 환자같이 했다와 같이 동맹국 정상에 모독적 발언에 어떤 입장이냐고 묻자 이 고위관계자는 “그것은 (조현병 환자 같은 아이디어라고 표현한 부분) 그 자신이 판단해봐야 할 문제”라며 “그 본인이 그럴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싶다”고 반문했다. 실제로 볼턴은 회고록 301쪽에서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정의용 실장과 자신의 회동을 소개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의 행동대 행동 제안을 거절한 것은 옳지만 영변핵시설 해체 의지는 의미있는 첫걸음이라고 한 것을 두고 “문재인의 조현병 환자같은 생각(Moon Jae-in’s schizophrenic idea)”이라고 썼다.

볼턴의 개인 회고록에 청와대가 공식 대응한 배경이 뭐냐는 질의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청와대 공식 대응이라기 보다는 정 실장이 볼턴의 카운터 파트였다”며 “정 실장과 주고받은 얘기도 포함돼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해 입장을 낸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에 요구한 적절한 조치라는 것이 뭔가라는 질의에 이 고위관계자는 “통상적으로 대통령 참모들이 직을 수행하면서 비밀 준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한국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 다 그러한 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고위관계자는 “특정해서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것을 포함해 정 실장이 지적했듯히 사실이 아닌부분, 허위사실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에 관해 미국쪽에서 일어난 일이니 미국쪽에서 판단해서 할 일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미 NSC 전달했을 때 미국이 어떤 반응이었는지를 묻자 이 고위관계자는 “특별히 밝힐 부분은 없다”고 답했다.

한편, 북한의 대남 전단 살포와 관련해 군사적 대응을 해야 하는 것이냐는 미디어오늘의 질의에 이 고위관계자는 “아직 현실적으로 가시화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군사적인 대응의 경우 글쎄 상식적으로 판단해달라”고 답했다. 삐라 살포 예고에 관한 청와대 입장을 묻자 그는 “통일부에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안다”고 했다.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쓴 회고록, 그 일이 일났던 방의 301쪽에 문 대통령의 생각을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쓴 회고록, 그 일이 일났던 방의 301쪽에 문 대통령의 생각을 '문재인의 조현병적인 생각'이라고 표현한 대목이 나온다. 이미지=존 볼턴 회고록 갈무리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지난 17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비난 담화에 반박하고 있다. ⓒ연합뉴스▲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지난 17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비난 담화에 반박하고 있다. ⓒ연합뉴스

 

프린트
0 Comments
+

새글알림

CSR AND MARKETING
Nailabella 06.10 20:46
과외 하고있습니다
소유링 05.25 22:09
+

댓글알림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